다문화 수업일지(한국어 및 문화)

[스크랩] 8월10일

예2 2010. 7. 10. 19:53

강사일지

 

 

프로그램명

 

문화이해 교육

 

강사명

 

김예복

일시

2009.8.10

출석인원

(참여/전체)

25/31

수 업 주 제

여기는 민속촌이에요.

내 용

0. 한국의 옛 주거 문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0. 간단한 민속놀이도 이해 할 수 있습니다.

0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어디에서 나라의  옛 모습을 볼 수 있어요?

0 옛날 한국의 모습을 본 적이 있어요?

 

여기는 한국의 옛날 생활을 볼 수 있는 민속촌이에요.

옛날 한국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놓은 곳이지요.

요즘 다시 만든 곳도 있지만, 예전부터 있었던 곳도 있어요.

그렇군요. 지붕이 특이한데 여기는 어떤 곳이에요? 이곳은 초가집이에요.

 저기 보이는 곳은 기와집이고요. 어떤 사람이 살았는지에 따라서 지붕이나 집의 모양,

 크기가 다르죠. 우리 저쪽으로도 한번 가 봐요. 저기도 재미있겠는데요.

저건 널뛰기지요? 저도 알아요. 우리 저기 가서 같이 해 봐요.

 

 

초가집 

 볏짚으로 지붕을 만든 집이에요. 매년 지붕을 새로 바꿔야 해요.   옛날에

              평민이 주로 살았어요.

 

 

기와집 

 

흙을 구워 만든 기와로 지붕을 만들었어요. 옛날에 양반이 주로 살았어요.

 

 

 

 맷돌

곡식을 잘게 갈아요. 둥근 돌로 이것을 만들었어요.

 

 

 

 

 

절구

 

곡식을 담아 방방이로 두들겨서 잘게 만들었어요. 떡도 만들 수 있어요

 

 

  

다듬이

 

방망이로 두들겨서 옷의 주름을 펴서 편편하게 만들었어요.

 

 

 

 

 

  굴뚝

 

한국의 집엔 이것이 집 밖에 있어요. 온돌을 따뜻하게 만드는 아궁이와 연결되어 있어요.

 

 

 

 

 

그네

        높은 나무나 기둥에 줄을 달아요. 줄에 올라가 앞뒤로 움직이는 거예요.

 

 

       줄타기

      높은 곳에 줄을 매달고 줄 위를 걸어요. 이것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조마조마

 

 

 

 

              

       

        널뛰기

      명절에 여자들이 많이 했어요. 가운데 한 사라마이 앉고 양쪽에 두 사람  이  번갈아 가며 높이 뛰어요.

 

 

 

 

  두호

옛날 1000원짜리 지폐에 이 놀이가 그려저 있었어요.

병 속에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예요. 주로 궁궐이나 양반의 집에서 했어요.

 

 

 

 

 

민속촌이 뭐예요?

 

민속촌은 옛날 한국의 모습을 재현하거나 그대로 보존 해 놓은 곳입니다.

옛날 집뿐만 아니라 관가와 가게도 있습니다. 온돌 문화인 한국의 옛날 집의 가구는 키가 작습니다.

주로 앉아서 생활했기 때문입니다. 또 농업문화였기 때문에 농업과 관련된 도구도 많이 있습니다.

민속촌에서 집과 생활도구를 보고 민속놀이도 구경할 수 있습니다.

민속놀이를 한 후에 옛날 음식도 먹어 보세요. 

 

강의의견

베트남, 캄보디아, 중국에서 온  학습자들은 볏짚이나 농기구 문화가 비슷한 점이 많아서 쉽게 공유했으나  우즈베키스탄 과 몽골 출신들은 서로 질문하기에 바빴으나 대체적으로  문화행사에 한두 번 참여 해본 경험들이 있다면서  현재 장성 거주 학습자들은  맷돌이나 절구 굴뚝은  마을에서 봤다며 곁들여 맷돌콩물국수가 맛있다 한다.

담당자

김예복(인)

사무국장

김선옥(인)

출처 : 매곡탁구회관
글쓴이 : 김예복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