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방색
이처럼 음양오행사상에 기반 하여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
을 맺고 있는 오방색
황(黃)은 오행 가운데 토(土)에 해당하며 우주의 중심이라 하여 가장 고귀한 색으로
청(靑)은 오행 가운데 목(木)에 해당하며 만물이 생성하는 봄의 색,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색으로
적(赤)은 오행 가운데 화(火)에 해당하며 생성과 창조, 정열과 애정, 적극성을 뜻하여 가장 강한 벽사의 빛깔로
백(白)은 오행 가운데 금(金)에 해당하며 결백과 진실, 삶, 순결을
흑(黑)은 오행 가운데 수(水)에 해당하며 인간의 지혜를 관장 한다고 합니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따른 오행(五行)의 기운과 직결된 청 .적. 황. 백 .흑. 다섯 가지의 이 기본색들은 우리 민족이 예로부터 쓰던 오방색 (五方色) 입니다.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원색이지요.
방위에 해당하는 다섯 가지 정색이 있고, 각 정색 사이에는 다섯 가지 간색이 있는데 목, 화. 토. 금. 수의 오방에 상용하는 오방색은 청, 적 ,황 ,백, 흑이고 그 사이 사이에 놓인 간색은 녹색, 백색, 홍색, 자색, 유황색의 5가지 색을 말합니다.


아기를 낳았을 때, 금줄을 대문 앞에다 두르지요? 이 하찮은 줄 하나에도 '오방색'이 있답니다. 거칠게 꼬아 만든 새끼줄에 솔가지나 대나무, 숯, 붉은 고추, 흰 창호지, 생각해 보세요. 오방색이 정말 들어 있네요. 간장독에 넣은 검은 숯과 붉은 고추도 있습니다.

잔치 집 국수의 고명에도, 시집가는 신부의 얼굴에 연지곤지에도. 색동저고리에도, 태극기에도, 탈에도, 보자기에도, 오곡밥에도, 선조들에게 오방색은 단순한 빛깔로써의 색만이 아닌 것 같습니다.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복을 바라는 마음의 종교적인, 우주관적인 철학이 담긴 것이라 하네요.
|
강의의견 |
장성에 거주하는 학습자들은 마을에서 봤다며 빨리 공감하기도 했지만
우선 낯선 문화에 신기 해 하는 모습이 더 많았다.
게다가 음식, 옷 , 장항아리, 등과의 설명을 듣고서야 조금씩 이해를 높여가는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