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15

30항

제:30항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합니다. [제:삼시팡] 1. 'ㄱ, ㄷ, ㅂ, ㅅ , ㅈ'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자음만은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합니다. 냇가 [내:까 / 낻:까] 샛길 [새:낄 / 샏:낄] 빨랫돌 [빨래똘 / 빨랟똘] 콧등 [코뜽 / 콛등] 깃발 [기빨 / 긷빨] 대팻밥 [대:패빱 / 대:팯빱] 햇살 [해쌀 / 핻쌀] 뱃속 [배쏙 / 밷쏙] 뱃전 [배쩐 / 밷쩐] 고갯짓 [고개찓 / 고갣찓] 2. 사이시옷 뒤:에 'ㄴ, ㅁ' 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합니다. 콧날 [콛날 → 콘날] 아랫니 [아랟니 →아랜니] 툇마루 [퇻:마루 → 퇸:마루] 뱃머리 [밷머리 →밴머리] 3. 사..

표준발음법 2020.07.13

29항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제:이십:꾸항] [앞따너] [접뚜사] [점미사] '이, 야, 여, 요, 유' 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해 [니, 냐, 뇨, 뉴]로 발음합니다. 솜-이불 [솜:니불] 홑-이불 [혼니불] 막-일 [망닐] 삯-일 [상닐] 내복-약 [내:봉냑] 맨-입 [맨닙] 꽃-잎 [꼰닙] 한-여름 [한녀름] 남존-여비 [남존녀비] 신-여성 [신녀성] 색-연필 [생년필] 직행-열차 [기캥녈차] 늑막-염 [능망념] 콩 엿 [콩녇] 담-요 [담뇨] 눈-요기 [눈뇨기] 영업-용 [영엄뇽] 식용-유 [시굥뉴] 국민-윤리 [국민뉼리] 밤-윷 [밤:뉻]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을 첨가해서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표준발음법 2020.07.13

28항

제:2:8항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제:이:시팔항] [업떠라도] [껵] 즉 휴지가 성립되는 합성어의 경우에는, [성닙뛔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 ㄷ, ㅂ, ㅅ, ㅈ' 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문-고리 [문꼬리] 눈-동장 [눈똥자] 신-바람 [신빠람] 산-새 [산쌔] 손-재주[손째주] 길-가 [길까] 물-동이 [물똥이] 발-바닥 [발빠닥] 굴-속 [굴쏙] 술-잔 [술짠] 바람-결 [바람껼] 그믐-달 [그믐딸] 아침-밥 [아침빱] 잠-자리 [잠짜리] 강-가 [강까] 초승-달 [초승딸] 등-불 [등뿔] 창-살 [창쌀] 강-줄기 [강쭐기

표준발음법 2020.07.13

27항

제:2:7항 관형사형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 ㄱ,ㄷ, ㅅ,ㅈ' 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할 것을 [할꺼슬] 갈 데가 [갈떼가] 할 바를 [할빠를] 할 수는 [할쑤는] 할 적에 [할쩌게] 갈 곳 [갈꼿] 할 도리 [할또리] 만날 사람 [만날싸람] 다:만, 끊어서 말할 적에는 예:사소리로 발음합니다. [끄너서] [쩍] *붙임* 'ㄹ'받침으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합니다. 할걸[할껄] 할밖에[할빠께] 할세라[할쎄라] 할수록 [할쑤록] 할지라도 [할찌라도] 할지언정 [할찌언정] 할진대[할찐대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

표준발음법 2020.07.13

25항~26항

제:2:5항 어:간 받침'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ㅈ' 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넓게 [널께] 핥다 [할따] 훑소 [훌쏘] 떫지 [떨:찌] 제:2:6항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 ㄷ, ㅅ,ㅈ' 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제:이:심뉴캉] 갈등 [갈뜽] 발동 [발똥] 절도 [절또] 말살 [말쌀] 일시 [일씨] 갈증 [갈쯩] 물질 [물찔] 발전 [발쩐] 몰상식 [몰쌍식] 불세출 [불쎄출] 불소 [불쏘](弗素) 다:만, 같은 한자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습니다. 허허실실 [허허실실](虛虛實實) 절절-하다[절절하다](切切-)

표준발음법 2020.07.13

24항

제:2:4항 어:간 받침'ㄴ'이나 'ㄵ', 'ㅁ'이나 'ㄼ'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ㅈ' 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신고 [신:꼬] 껴안다 [껴안따] 앉고 [안꼬] 얹다 [언따] 삼고 [삼:꼬] 더듬지 [더듬찌] 닮고 [담:꼬] 젋지 [점찌]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습니다. 안기다 [안기다] 감기다 [감기다] 굶기다 [굼기다] 옮기다 [옴기다]

표준발음법 2020.07.13

23항

:2:3항 받침 'ㄱ'이나 'ㄲ, ㅋ, ㄳ, ㄽ', 'ㄷ'이나 'ㅅ, ㅆ, ㅈ,ㅊ, ㅌ', [제:이:십쌈항] 'ㅂ'이나 '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국밥 [국빱] 깎다 [깍따] 넋받이 [넉빠지] 삯돈 [삭똔] 닭장 [닥짱] 칡범 [칙뻠] 뻗대다 [뻗때다] 옷고름 [옫꼬름] 있던 [읻떤] 꽂고 [꼳꼬] 꽃다발 [꼳따발] 낯설다 [낟썰다] 밭갈이 [받까리] 솥전 [솓쩐] 곱돌 [곱똘] 덮개 [덥깨] 옆집 [엽찝] 넓죽하다 [넙쭈카다] 읊조리다 [읍쪼리다] 값지다 [갑찌다

표준발음법 2020.07.13

20항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합니다. [제이시팡] (1) 난로[날:로] 신라 [실라] 천리 [철리] 광한루 [광:할루] 대관령 [대:괄령] (2) 칼날 [칼랄] 물난리 [물랄리] 줄넘기 [줄럼끼] 할는지 [할른지] *붙임* 첫소리 'ㄴ'이 'ㅀ' ,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합니다. [처쏘리] 닳는 [달른] 뚫는 [뚤른] 핥네 [할레]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ㄹ'을 [ㄴ]으로 발음합니다. 의견란 [의:견난] 임진란 [임:진란] 생산량 [생산냥] 결단력 [결딴녁] 공권력 [공꿘녁] 동원령 [동:원녕] 상견례 [상견녜] 횡단로 [횡단노] 이원론 [이:원논] 입원료 [이붠뇨] 구근류 [구근뉴]

표준발음법 202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