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일지
프로그램명
|
문화이해 교육 | |||||
강사명
|
김예복 |
일시 |
2009.7.16 | |||
출석인원 (참여/전체) |
20/31 | |||||
수 업 주 제 |
한국 사람하고 같이 밥을 먹어요. 여러분의 나라에서 유명한 음식은 무엇이에요? | |||||
내 용 |
한국 음식예절과 여러분들의 나라 음식예절을 간단히 알아봐요. | |||||
한국 사람하고 같이 밥을 먹을 때 지켜야 하는 것을 이야기 해 봐요. 1. 어른이 먼저 주저를 드셔야 해요. 다른 사람들은 조금만 기다리세요. 2. 한 음식을 여러 사람이 함께 먹기도 해요. 조금씩 덜어서 먹어도 괜찮아요. 3. 밥그릇은 식탁 위에 두고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밥과 반찬을 먹어요. 4. 숟가락과 젓가락을 한 손에 같이 들면 좋지 않아요 .5. 음식이 입 안에 있을 때 이야기하는 것은 좋지 않아요. 6. 모든 사람이 식사를 마치기 전에 먼저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아요.
베트남-짜조
각 나라 식사 문화 0.소니내서 먹는게 예절에 어긋나는 나라 ? 한국,중국,타이(태국) 0. 소리를 내서 먹는게 올바른 식사예절인 나라 ? 일본,홍콩등 아시아 여러나라 0. 트림을 하는 것이 요리에 대한 찬사라고 여기는 나라 ? 필리핀,사우디 아라비아 등 0. 사발이나 컵을 완전히 비우고 요리를 깨긋이 먹는 것은 즘더 원한다는 뜻인나라 ? 캄보디아 해서 그만 먹고 싶으면 음식을 조금 남겨야 함. 0. 음식을 조금 남기면 접대를 잘 받았다는 뜻인 나라 ? 필리핀 이집트등 0. 음식을 남기면 식사가 별로 였다는 뜻인 나라 ? 인도네시아 이렇게 나라마다 식사예절은 그나라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다르다.
전통음식의 펭킨덕
| ||||||
강의의견 |
결혼 이민자 특성상 대부분 주부 입장이라서 요리수업이나 식사문화 시간엔 학습자들 상호간에 이야기를 곧잘 주고 받으며 식사문화에서는 서로 공통적인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선 곧바로 문화차이를 인식하며 대체로 편하게 웃어가며 수업할 수 있다.
| |||||
담장자 |
김예복(인) |
사무국 장 |
김선옥(인) |
'다문화 수업일지(한국어 및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화탐방(7.22 빛고을노인 건강타운 ) (0) | 2010.07.10 |
---|---|
[스크랩] 7월20일 (0) | 2010.07.10 |
[스크랩] KBS1 생방송(열린마당)에 출현하다(7.10) (0) | 2010.07.04 |
[스크랩] 6월30일 (0) | 2010.07.04 |
[스크랩] 7월6일 (0) | 2010.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