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수업일지(한국어 및 문화)

[스크랩] 5월11일

예2 2010. 7. 1. 21:58

문화교육 운영일지

구분

생활요리

과목

임산부의 음식문화

일시

2009.5.11

장소

비아동 주민자치센터

강사

김예복

참여인원

8명(러시아 1명/베트남 4명/캄보디아 2명/중국 1명)



1. 학습목표 :  학습자들의 요청에 의한 임산부의 음식문화


2. 교육내용: 1) 치찬스꾼 떼리(캄보디아) 임신4개월째, 하이엔(베트남) 임신3개월째

                덩 배텀(베트남) 출산 7개월째, 황정(중국) 출산1년째

                기타 임신을 기다리는 상황

             2)

임신부가 먹으면 좋은 음식


임산부가 먹으면 좋은 음식들은 대개 태교와 관계가 있다. 임산부가 먹는 음식은 태아의

뇌와 뼈를 형성하는 데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임신 중에는 기름진 음식, 열이

많고 매운 음식은 피하는 게 좋고, 대개 담백하고 가벼운 음식을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임신초기 3개월까지 - 과일, 야채 위주로 가볍게


입덧이 생기는 시기. 입덧이 생긴다고 식사를 줄이거나 거르지 말고 조금씩 자주 먹어주는 것이 좋다. 수분과 비타민, 무기질 보충을 위해서 신선한 과일이나 야채를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우유나 요구르트를 하루 한 병 정도 먹는 것이 좋다. 과일, 야채 등도 적당히 먹는다. 그러나 과식하면 위장이 차지거나 수분과다 현상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우유 가장 완전한 식품이라는 우유.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을 고르게 갖추었고, 칼슘이 많고, 소화 흡수가 잘된다. 하지만 체질적으로 우유를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해 우유가 맞지 않는 사람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이런 사람이 우유를 마실 때는 한 모금씩 입에 물고 오랫동안 씹어먹듯 먹어야 고소한 맛이 더 나고 소화도 잘된다. 임산부는 하루 한 잔 정도(150cc)를 마시는 것이 좋다.


요구르트 요구르트에는 유단백과 무기질, 비타민류가 들어 있고 젖산 발효에 의해 소화, 흡수가  잘되고 장을 튼튼하게 해준다. 보리차 임신을 하게 되면 몸에 열이 올라 물을 자주 마시게 되는데, 한 모금의 물이라도 건강을 생각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 너무 차거나 너무 뜨거운 것보다는 적당히 식힌 보리차가 건강에 좋다.


2. 임신중기 4-6개월 - 철분 섭취가 중요


식욕이 왕성해지는 시기로, 갑자기 체중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임산부 스스로 체중 조절을 해야 한다.  이 시기에는 단백질, 칼슘, 철분이 특히 필요하다. 철분이 많이 든 음식으로는 간, 붉은 살코기,  생선, 달걀, 콩 제품, 녹황색 채소 등이 있고, 칼슘이 많이 든 음식으로는 우유, 멸치, 콩 제품, 녹황색 채소 등이 있다. 그 밖에 우유와 뼈째 먹는 생선, 두유 등이 좋다.


3. 임신 6개월 후 - 소화 잘되는 음식을 조금씩 자주


태아의 발육이 활발한 시기이므로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이 때는 음식 자체만으로도 위에 부담을  주므로 소화 잘되는 음식을 조금씩 자주 나눠 먹어야 한다. 또 분만시 출혈에 대비해 비타민C,  K, B2, 엽산 등 비타민류를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태아를 위해 단백질과 칼슘을 주로 먹고 올리브, 옥수수, 참기름 등의 식물성 지방을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임신중독증을 예방하기 위해 붉은 살코기나 어패류, 현미 등을 먹는 것이 좋다. 태아의 뇌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콩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한다.


당근 주스, 멜론 주스 등은 비타민B군이 함유되어 단백질 대사를 도와주므로 태아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 임신부가 피해야 할 음식


우리 조상들이 전해준 생활의 지혜 중 임산부가 금해야 할 음식들은 구체적이고 다양했다.

먹거리가 부족했던 옛날, 이것저것 먹거리라면 무조건 상에 올렸기 때문에 임신부들이 먹어서는 안 되는 금기 음식들이 많이 전해져 내려 왔음직하다. 그 중에는 고개가 끄덕여지는 생활의 지혜가 발견되곤 한다.


예를 들어 생선 중에 비늘이 없는 홍어, 문어, 낙지, 오징어 등이 금기 음식으로 여겨졌는데,  이유는 칼슘을 충분히 섭취해야 할 임신부가 뼈가 없는 생선을 많이 먹어서 칼슘 부족이 될까 봐 그랬던 것으로 풀이된다.


요즘에 금기시하는 음식으로는 알코올, 커피, 초콜릿 같은 카페인이 든 음식. 이런 음식은 유즙의 분비를 방해하는 성분이 있다. 담배 역시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소 공급을 차단시켜 저체중아를  낳을 위험이 있다. 너무 매운 음식과 짠 음식, 술, 담배, 카페인 함유 음식, 약물, 지나친 물과 음료, 과식은 임산부에게 해롭다.


1. 알로에


성질이 너무 차가울 뿐 아니라 한방에서는 기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기운이 강하다고 봐 임산부가  먹기에 적합하지 않다.


2. 녹두


몸을 차게 하고, 소염 작용이 강하여 임산부에게 좋지 않다. 율무 거담 작용으로 태아의 지방질을 없애는  작용을 하므로 태아 성장에 방해가 된다.


3. 붉은팥


몸의 진액을 운행하고 기를 통하게 하나 혈액을 흩어지게 하는 작용이 있어 임신 중의 호르몬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기형아의 위험이 있다.


4. 복어


복어는 독이 있어 조심해서 먹어야 할 음식이다. 위 기능이 약한 임산부는 복어같은 위험성이 있는  음식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5. 생강


생강 자체는 열이 많아서 습진이나 두드러기를 유발할 수 있어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확인된 사실은 아니지만 한방에서는 임신 중에 너무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많이 먹으면 아이가 아토피성 체질이 되기 쉽다는 주장도 있어 가능한 한 맵고 열이 많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6. 인스턴트 식품


햄, 소시지, 라면 등 인스턴트 식품은 소화된 후 몸 안에 불필요한 노폐물을 남기므로

임산부에 좋지 않다.


7. 흰 설탕


흰 설탕은 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칼슘을 빼앗는 작용을 하므로 가능한 한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임산부에게 칼슘은 태아나 임산부 자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므로 흰 설탕 섭취는 줄이도록 한다.


8. 카페인이 든 음료


임신 중에는 하루 커피 2잔 이상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고, 인스턴트 커피는 더욱 해롭다.

공복에 커피를 마시면 위산이 많이 분비된다. 이럴 땐 위산을 중화시킬 수 있는 단백질 식품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때문에 굳이 커피를 마시고 싶다면 우유를 넣어 마시는 카페오레나 카푸치노 등이 좋다 


3. 평가 :  봇물 터지듯 이어지는 질문들

           특히 베트남 권에서는  밀가루 음식 (라면.국수)가

           왜 피하는 게 좋은 음식인지 무척 당황스럽다는 표현이고

           캄보디아 학습자는  빵. 비스킷. 쨈 등도 묻는다


           어쩌다 한두번은 괜찮지만 자주 먹으면 특히 인스턴트 식픔에

           는 각종 첨가물 때문에  그렇다는 설명에

           그동안 자주 먹었다며  앞으로  주의하겠다며 끄덕 끄덕


          자연스럽게 대화형식인 수업이라서 그런지 훨씬 질문이 활발하고         

          일단 하품하거나  “몰라요” 가 자주 나오지 않는 것 보니

          가벼운 마음인 듯 하다

         아울러 조금 천천히 해달라는 요청이라서 다음 시간엔

         단 한 가지라도  전달될 수 있도록  눈높이에 맞춰야 겠다.

 

 

출처 : 매곡탁구회관
글쓴이 : 김예복 원글보기
메모 :

'다문화 수업일지(한국어 및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08.10.24  (0) 2010.07.01
[스크랩] 2008.10,23  (0) 2010.07.01
[스크랩] 5월18일  (0) 2010.07.01
[스크랩] 5월14일  (0) 2010.07.01
[스크랩] 5월7일  (0) 2010.07.01